티스토리 뷰
목차
2년 뒤 통장에 580만 원이 생긴다면 믿을 수 있을까. 경기도 청년들에게만 제공되는 ‘청년 노동자 통장’ 제도는 단순한 적금이 아닌 자산 형성을 위한 매칭 지원형 복지 제도다.
청년기본소득,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도약계좌 등 다양한 제도들이 있지만, 실제로 월 10만 원의 저축만으로 총 58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구조는 드물다. 본 기사는 이 제도의 핵심 구조와 수혜 구조를 명확히 정리함으로써 청년들이 체계적인 경제 준비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제도 개요 –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이란?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은 만 19~39세(병역의무 이행자는 만 42세까지)의 경기도 거주 청년 근로자가 대상이다. 매달 10만 원씩 2년간 저축하면, 경기도가 동일 금액 240만 원과 지역화폐 100만 원을 더해 총 580만 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산 형성 제도다.
- 본인 저축: 240만 원 (10만 원 × 24개월)
- 경기도 지원금: 240만 원 (현금 지급)
- 지역화폐 지원: 100만 원
- 총 수령액: 580만 원
이 중 480만 원은 현금으로 지급되며, 100만 원은 지역화폐로 경기도 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다. 일부 유통제한 품목(주류, 담배 등)은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 – 청년, 그리고 일하는 사람들
이 통장은 단순히 청년이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아니다. 현재 근로 중인 경기도 거주 청년만 신청할 수 있으며,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에 해당해야 한다. 프리랜서, 계약직, 정규직을 포함해 고용 형태와 무관하게 근로 중이라면 신청 자격이 생긴다.
대상 요건 요약:
- 만 19~39세(병역 이행자는 42세까지)
- 경기도에 주민등록이 있는 청년
- 공고일 기준 근로소득이 있는 자
- 건강보험료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조건만 맞는다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복잡한 심사 없이 정량 기준을 충족하면 지원 대상이 된다.
단순 적금이 아닌 '복합형 자산 설계'
청년 노동자 통장은 단순한 적립이 아닌 정책 연계형 복지이다. 저축 습관을 형성하는 동시에 재무상담, 금융교육, 노무상담 등의 프로그램도 함께 제공된다. 특히 중위소득 120% 이하의 근로 청년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 초년생의 자산 형성과 경제 독립을 동시에 지원한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제도는 저축 의지만 있다면 누구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근로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경제적 사다리' 역할을 한다.
왜 지금 신청해야 할까?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은 모집 시기마다 정원이 있으며, 경쟁률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히 가산점 항목(신용회복 상환 중, 학자금 연체 상환, 사회적경제 종사 등)을 통해 우선 선발되므로 조건이 충족된다면 서둘러 신청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이 제도는 '소득 보전'이 아닌 '자산 축적'을 목표로 설계되어, 단기적 혜택보다 중장기적인 재정 기초 마련에 특화되어 있다. 월 10만 원이라는 부담 없는 금액으로 580만 원이라는 실질적 리턴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청년층의 호응이 크다.
다음 글에서 이어집니다
→ [2편. 청년 노동자 통장 신청 자격 총정리]
→ [3편. 중위소득 기준 확인법]
→ [10편. 전체 시리즈 허브페이지로 이동]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신청 방법 총정리
경기도 청년이라면 2년 저축으로 580만 원 받는 법! 신청 조건부터 소득 기준, 신청 일정까지 이 글 하나로 정리했어요.
post002.ajihago.com